약리학_3장_중추신경계_3)~5)기분장애/정신병/뇌전증
3. 기분장애 치료제
1) 우울증(depression) 치료제 -> CNS에서 NE, 세로토닌을 증가시켜야 한다.
*NE는 CNS에서 기분을 좋게하는 작용을 한다.
◆우울증(depression): 전반적인 정신기능이 저하된 상태. 지속적인 우울감, 불면증과 수면장애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s) ~talopram, ~oxetine 5-HT 수용체에 결합 |
Citalopram, escitalopram, Fluoxetine, fluvoxamine, Paroxetine, sertraline |
우울, 불안장애에 효과. 성기능 장애 |
선택적 세로토닌 및 NE 재흡수 억제제(SNRIs) |
Venlafaxine, duloxetine | 신경성 통증 완화, 성기능 장애 |
비정형 항우울제(atypical antidepressant) |
Bupropion, Mirtazapine Nafazodone ,trazodone |
금연보조제, 경련과 발작 항히스타민 진정, 식욕증가 항히스타민 진정, 간독성, 수면보조제 |
삼환계 항우울제(TCAs) ~mipramine |
Imapramine, amitriptyline Doxepine |
우울증에 효과, 부작용으로 항콜린 효과(혈관의 α1차단, 빈맥) ->요즘은 잘 안 쓰는 약. 요즘은 SSRs써요. |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MAOIs) NE, 도파민, 세로토닌 같은 신경전달 물질의 분해를 억제. |
Phenelzine Tranylcypromine Isocarbozazid, selegiline |
우울증 효과 약물-약물 부작용 (SSRIs와 병용X) 약물-식품 부작용 (티라민=tyramine 섭취X) |
2) 양극성 장애(bipolar disease) 치료제 -> lithium, 항정신병, 항경련제 약물
NE, glutamate같은 흥분성 물질들은 과다,
GABA같은 억제성 물질들은 결핍.
◆양극성 장애 -> 조증~우울증
◆조증(mania)는 정신운동이 지나치게 활발하고 과민해지는 상태로 우울증과 증상이 반대된다.
조증은 정신분열병(schizophrenia)나 약물남용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양극성 장애의 약물 치료
->기본적으로 기분 안정제.
Lithium | 치료지수(TI)가 좁다! 리튬의 혈중 농도를 모니터하며 사용해야 한다. 콩팥기능 손상 환자에 주의 |
|
정신병 치료제 (소챕터로 다시 자세히) |
Risperidone | |
간질 치료제 (소챕터로 다시 자세히) |
Valproic acid, carbamazepine |
4. 정신병 치료제
◆정신병(psychosis): 현실갑없이 망상, 환각, 착각 등의 증상이 나타는 것. 1세대, 2세대 약물이 있다.
망상(delusion) | 현실에서 찾을 수 없는 생각과 믿음 |
환각(hallucination), | 존재하지 않는 어떤 것을 보고, 듣고, 느끼는 것 |
착각(illusion) | 실제의 감각적 자극에 대해 왜곡되게 느끼는 것. |
1) 조현병(schizophrenia; SCZ) -> 과거엔 정신분열병이라 불렀음.
*조현: 현악기의 줄을 고른다.
◆SCZ의 직접적인 원인:
도파민 D2수용체 과잉자극에 의한 도파민 불균형, 대뇌 구조와 기능 이상, 유전과 환경적인 요인 등 복합적. 약물 중독과 중증 우울증도 원인이 될 수 있다. SCZ치료의 1차적 목적은 증상완화이며 완치는 불가능하다.
cf. 파킨슨병(parkinson disease; PD) -> 중뇌 흑색질 변성에 의한 도파민 부족
◆SCZ의 일반적인 증상:
환각, 망상, 환영, 환청. 대인관계에 대한 지나친 긴장감, 무관심, 특이한 말과 행동.
양상증상과 음성증상이 특징적!
양성증상 ▶없는 게 정상인 증상들 |
망상, 환각, 격앙, 긴장, 기이한 행동(이상한 이야기를 하는 것도 포함) ->이중 5개 중 2개 이상 증상이 있고, 사회적&직업적 기능부전과 함계 6개월 이상 장해 징후가 계속되면 SCZ로 진단 |
음성증상 ▶있는 게 정상인 증상들 |
무논리, 무욕, 무감정, 자극에 대한 행동 저하, 분열 증상 |
◆SCZ 치료제
종류 | 기전 | 작용, 부작용 |
1세대, 전형적 항정신병 약물 Chlorpromazine Haloperidol (수술 후 섬망증세에 多사용) |
도파민 D2 수용체에 결합 약하게 결합. 저효력 강하게 결합. 고효력 |
양성증상에 효과 항콜린효과(입 건조, 저혈압, 소변 정체) EPS(추체외로 증후군, 근육 관련 질환) |
2세대, 비전형적 항정신병 약물 Risperidone Clozapine |
도파민 D2 수용체 & 세로토닌 수용체(5-HT2A)에 작용 도파민 수용체 < 5-HT 도파민 수용체 < 5-HT, 무스카린, α아드레날린 수용체 |
양성, 음성증상 2가지 모두에 효과 성기능장애(risperidone) 무과립구증(clozapine EPS는 거의 없음, 대사성 부작용(체중 증가, 당뇨) |
*
추체로 =피질척수로(cortico spinal tract) =피라미드로(pyramidal tract) |
운동 관련 정보를 대뇌 운동피질(의식O)에서 척수로 전달. |
추체외로 | 운동 관련 정보를 뇌줄기(의식X)에서 척수로 전달. *추체외로 증후군? 근육긴장이상, 좌불안석, 파킨슨병, 지연성 이상운동증 등이 나타남. |
5. 뇌전증(=간질=epilepsy) 치료제
뇌의 전기적 활동 장애로 발작(seizure)이 반복될 때 진단될 수 있다. 발작은 의식, 운동능력, 감각에 영향을 준다.
전기적 활동 장애가 뇌의 어느 위치에 나타나느냐에 따라 증상도 달라진다.
경련(convultion)은 발작의 종류(발작에 포함되는 개념)로서,
‘의지와 관계없이 나타나는 근육수축에 의한 발작’을 의미한다.
뇌전증 약물은 기전에 따라 GABA 작용체, Na+ 이동 차단제, Ca2+유입 차단제, glutamate 길항제로 나눌 수 있다.
◆발작의 종류와 분류
부분발작 (partial) 대뇌 한 부분만 관여 |
단순 부분 (simple partial) 복합 부분 (complex partial) |
후각적, 청각적, 시각적 환상 격렬한 감정, 팔, 다리, 얼굴의 단일 수축 전조(aura), 짧은 기간의 혼돈이나 수면 후 발작 기억이 없어짐, 옷을 벗으려는 시도나 만지작거림, 구두(verbal) 명령에 반응하지 않음 |
전신발작 (generalized) 대뇌 양쪽이 비정상 |
실신(absence) 무긴장(atonic) 근육간대발작 (myolonic seizure) 긴장간대발작, 대발작 (tonic-clonic) |
몇 초간 지속, 대부분 소아기에 나타남. 종종 ADD나 백일몽으로 오진 몇 초간 지속, 이유없이 넘어지거나 비틀거림 팔과 같은 주요 근육군의 큰 반사운동. 앉은 자세에서 넘어지거나 잡고 있는 것을 떨어뜨림 전조(aura), 격렬한 근육 수축(긴장)과 수축과 이완의 반복 상태(간대). 발작 후 수면과 지남력장애 |
간질증후군 (epilepsy syndrome) |
열성발작 (febrile seizure) |
긴장-긴대성 활동이 1~2분간 지속 의식이 급격히 외복되며, 3개월~5세 사이에 발병 |
◆뇌전증의 약물치료
환자의 증상, 과거력, 병리에 따라 결정된다. = 위의 표를 알아야겠죠..
투약이 결정되면 소량으로 시작하여 효과와 부작용을 살피며 서서히 증량한다.
뇌전증 약물은 기전에 따라 GABA 작용체, Na+ 이동 차단제, Ca2+유입 차단제, glutamate 길항제로 나눌 수 있다.
GABA 작용체 | 벤조디아제핀(BDZs), 바비튜레이트(barbiturate) 새로운 약물 -> tiagabine, vigabatrin |
실신발작과 근육간대발작에 사용 비경구적 diazepam 투여는 뇌전증 지속 후두경련, 호흡저하, 심혈관계 허탈과 혼수 실신발작을 제외한 주요 발작. 약물치료에 실패한 뇌전증 지속증에 사용. 졸림, 무과립구증, 혈관부종, 후두경령과 호흡저하, 금단증상 부분발작과 헤르페스 치료 후 신경통의 보조 요법제, 부분 발작 환자의 보조제, 시야상실, 복약 중단에 따른 금단 발작 |
Na+ 이동 차단제 ->CNS활동 억제 |
페니토인(phenytoin) 발프로인산(valproic acid) 카르바마제핀(carbamazepine) |
부불발작과, 강직-간대성 발작, 뇌정증지속증에 효과. 저혈압, 부정맥 실신발작과 광범위한 발작에 유용. 두통과 양극성장애에도 이용. 간독성. 부분발작에 효과적. 강직-간대성 발작에도 효과. 노인환자에게 저나트륨 혈증 유발. |
Ca2+유입 차단제 ->활동전위 생성 감소시키고, 발작의 역치 상승 시킴. |
에토숙시마이드(ethosuximide) 프레가발린(pregabalin) 라모트리진(lamotrigine) 조니사마이드(zonisamide) |
|
glutamate 길항제 | Acetazolamude Lacosamide Topiramate felbamate |
*내용 보충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