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동학 교과목 개요: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과정을 속도론적 입장에서 해석하고, 이러한 약물의 체내 동태를 제어할 수 있는 생체 인자에 대해 학습한다.
교육 목표: 약물의 분자구조나 제형을 적절히 설계하고, 적절한 투여방법을 선택하여 환자 내 체내 동태를 이상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목차>
1장. 약물의 흡수
1. 약물의 생체막 투과: 생체막 구조, 구성성분, 생체막에서 지질의 역할
2. 상피세포에 있어서 막 투과 기전: 수동수송/능동수송/막동수송/담체의 종류 및 임상적 의의
3. 막투과와 분자의 성질: 약물 분자의 크기, 약물 분자의 분배계수, 생체막 투과계수
4. 소화관에서의 약물 흡수: 소화관 흡수, 약물의 위장관 흡수에 영향미치는 인자, 약물의 소화관 흡수성 개선 방안
5. 비경구 흡수: 구강/직장/비점막/경피/주사부위/폐/눈
2장. 제형변화에 따른 흡수변화
1. 약물의 용출과 흡수: 용출의 정의와 약물의 용출 이론, 약물의 용출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
2. 주요 제혈별 흡수특성: 정제/액체 및 현탁제/캡슐제/좌제
3. 용출시험: 용출시험시 고려사항, 용출기, 용출액의 부피, 교반속도, 용출액의 종류, 용출양상의 유사성 판정
4. 용출패턴과 혈중농도 간의 상관관계 해석: BCS, IVIVC
3장. 약물의 체내 분포
1. 조직분포: 분포과정의 개요, 조직분포를 지배하는 요인
2. 림프이행: 림프기관 및 체순환과 맥관구조, 투여경로와 림프관계 이행
3. 뇌로의 약물분포: 뇌 모세혈관에 있어서 약물수송, 뇌 내 세포에서의 약물 교환, 맥락총에 있어서 약물 수송과 뇌실상피에서의 확산
4. 태아로의 이행: 태반의 구조와 태아 순환, 약물의 태반 통과, 태아 내 분포
5. 지방조직으로의 분포: 지방조직과 약물의 작용, 지방조직과 독성의 방어작용
4장. 대사
1. 대사과정의 역할: 약리 활성화 기능, 독성 발현 기전 및 소실 경로로서의 대사
2. 약물 대사 장기와 대사 효소: 간에서의 약물 대사, 세포 내 부위, 약물 대사 효소의 종류와 역할, 간 외 대사
3. 약물 대사의 양식: 1상 반응, 2상 반응
4. 약물 대사에 미치는 영향: 약물 대사의 동태학적 고려사항, 환경적 요인에 의한 약물 대사의 변동
5장. 약물의 배설
1. 신배설: 신장의 구조, 약물의 신배설 기구, 신 클리어런스, 신질환에 있어서 약물의 신배설, 약물의 신독성
2. 담즙배설 및 기타 신 외 배설: 담즙의 생성, 약물의 간이행, 약물의 담즙 중 배설, 기타 신 외 배설
6장. 약물유전체학과 맞춤 약제학
1. 서론
2. 약물유전체학과 약물유전체학의 도입
3. 약물대사효소: 제 1상 대사, 제 2상 대사
4. 약물수송체: ABC수송체군, SLC 수송체군
5. 수용체
6. 요약 및 전망
7장. 컴파트먼트 모델
1. 약동학 파라미터
2. 1-컴파트먼트 모델
3. 2-컴파트먼트 모델
4. 비선형 컴파트먼트 모델
8장 투여방법과 경로에 따른 모델 해석
1. 경구흡수 모델: 1차 흡수, 수식을 통한 약동학 파라미터 산출
2. 정맥 등속주입 모델: 0차 흡수, 수식을 통한 약동학 파라미터 산출
3. 반복 투여 시의 약물동태: 중합의 원리, 약동학 파라미터 산출
4. 생체 이용률의 개념
9장. 생리학적 약물동태학
1. 생리학적 모델: 약물의 체내동태네 관한 기본적인 가설, 클리어런스 초회통과효과
2. 생리학적 모델의 활용: allometric scaling 과 종간 외삽, 생리학적 약동학 모델과 종간 외삽
10. 약력학의 이해
1. 약물-수용체 결합과 약효의 발현: 약물 수용체 결합, Emax도멜, Sigmoid Emax 모델
2. 약동학과 약력학의 관계: 직접효과 모델, 생체상 모델, 간접반응 모델, 신호전달 모델, 비가역적 약물효고, 내성모델
11장. 약물통태학과 의약품의 개발
1. 의약품의 개발 프로세스
2. 탐색단계에 있어서 약물동태학의 역할
3. 전임상시험과 약물동태학
4. 임상시험과 약물동태학
5. 임상약물동태학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