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맥영양(PN)3

Refeeding Syndrome 예방 및 치료 프로토콜 *개인 공부용 자료입니다. 참고만 하세요..  ✅ 1. Refeeding Syndrome 예방 전략🔎 리스크 평가 (영양 공급 전)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고위험군:⏱️ 금식 ≥ 5일 이상⚖️ 최근 1개월 내 체중 ≥ 10% 감소📉 BMI 또는 영양 결핍 상태⚡ 저P, 저K, 저Mg 등 전해질 이상📌 고위험 상태: 거식증, 만성 알코올중독, 암성 악액질, 중환자실, 장기 입원, 투석, 항암치료 중, 정신질환 등 ⚙️ 영양공급 시작 시🔋 에너지:→ 10–20 kcal/kg/day로 저용량 시작🍚 탄수화물:→ 100–150g/day 이하로 제한🥩 단백질:→ 1.0–1.2 g/kg/day💉 전해질(P, K, Mg):→ 공급 전 충분히 보충하고 시작📊 모니터링영양 공급 시작 후 72시간 동안.. 2025. 4. 5.
BUN과 albumin 수치가 둘 다 낮을 때 아미노산 증량? *개인 공부 자료입니다. 참고만 하셔요.. Q. BUN이랑 albumin 수치가 둘 다 낮을때 individualized tpn에서 단백질 조성을 높이는게 타당할까? 🧬 전제 정리BUN↓ + Albumin↓ → 단백질 대사나 영양 상태에 문제가 있다는 가능성이 경우, 단백질 공급을 늘리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음, 하지만 단순히 수치만 보고 결정하면 안 됨. 🧠 판단할 때 고려할 점1. 🔬 Albumin은 영양 지표로는 제한적Albumin은 간에서 합성되는 단백질이지만, 장기적인 영양 상태나 염증 상태의 반영에 더 가까움.급성기 반응 단백질(negative acute phase protein)이라, 염증·감염·수술 등에서도 낮아질 수 있어요.→ 단순히 "albumin이 낮다 = 단백질 부족"은 아님!.. 2025. 4. 5.
검사결과 해석] BUN(urea nitrogen, 혈액 내 요소질소) 의학에서 BUN은 Blood Urea Nitrogen의 약자로, 혈액 내 요소질소(urea nitrogen)의 농도를 의미해요. 💡 BUN이란?**요소(urea)**는 단백질이 분해될 때 간에서 생성되는 노폐물이 요소는 **혈액을 통해 신장(콩팥)**으로 이동해서 소변으로 배출됨.그래서 BUN 수치는 신장의 기능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로 사용됨.🩺 정상 범위보통 8~20 mg/dL 정도가 정상. (병원마다 약간 다를 수 있음)🔼 BUN 수치가 높을 때 (고BUN혈증)신장 기능 저하 (신부전, 만성 신질환 등)탈수 (물 부족 → 농축됨)고단백 식이 (단백질 많이 먹으면 요소 많아짐)출혈 (특히 위장관 출혈 → 단백질 흡수 증가)🔽 BUN 수치가 낮을 때간 기능 저하 (간에서 요소 생성↓)영양 결.. 2025.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