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자율신경계
*중추, 말초, 자율신경계를 나눠서 배우지만.. 하나의 고도의 통합체임을 잊지말자.
*전체 신경계에서 자율신경계의 위치를 생각하며 공부하자
1. 해부생리
1) 몸운동 신경계와 자율신경계
몸운동 신경계 | 수의적 활동, 단절없는 한 개의 운동신경세포 축삭돌기가 CNS에서 분지되어 직접 효과기에 연결되며, 종말에는 Ach를 분비한다. |
자율신경계 | 불수의적 활동, 신경절(ganglion)이 있어서 절전 섬유와 절후 섬유로 나뉜다. 교감, 부교감 모두 신경절에서는 Ach을 분비하고, 종말에는 각각 NE, ach를 분비한다. |
2) 교감신경 -> 싸움 혹은 회피. 멋있는 이성을 만났을 때
눈동자가 커지고, 피부 털이 서고, 땀이 나고, 눈물과 침은 마르고, 심장 뛰고, 소화관 운동 억제되고, 배변과 소변 형성도 느려진다.
3) 부교감신경 -> 휴식과 소화
4) 자율신경계통의 수용체
아세틸콜린 수용체 | 니코틴 수용체(신경절후) 무스카린 수용체(표적세포) |
카테콜아민 수용체 | α1, α2, α3 β1, β2 |
5) 신경전달 물질
교감&부교감 신경절, 신경-근육 이음부 -> ACh (Ach-니코틴 수용체_
부교감 신경말단 -> ACh (부교감 효과기 = Ach-무스카린 수용체)
교감신경 말단 -> NE (교감 효과기 = NE-아드레날린 수용체 = α, β 수용체)
6) 조절 -> CNS이 복잡한 과정을 통해 조절한다.
* 세포의 신호전달 ->신경자극(nerve impulse):
신경세포를 따라서 정보를 운반하는 전기적 신호. 분극, 탈분극, 재분극
분극(-70mV) | 신경세포는 안쪽이 -, 밖이 + 전하이다. Na/K펌프로 균형 맞춰놓은 것! |
탈분극(+30mV) | 역치이상의 자극을 받으면 Na+이온이 신경세포 내로 들어온다. |
재분극(-70mV근처) | Na+이 들어온 효과로 인해서, K+이 밖으로 나가게 된다. |
과분극(-90mV) | K+ 투과성이 휴지기 상태로 돌아오기 까지 시간이 걸리면서 안정막 전위보다 내려간다 |
반응형
'👨🎓약대 전공공부 > 약리학(교과서 이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리학_3장_중추신경계_1)퇴행성질환 (0) | 2021.11.07 |
---|---|
약리학_10장_내분비계(갑상선, 당뇨치료제 포함) (0) | 2021.11.05 |
약리학_2장_자율신경계_3_아드레날린성 약물 (0) | 2021.11.05 |
약리학_2장_자율신경계_2)콜린성 약물 (0) | 2021.11.03 |
약리학_1장_약리학의 개요 (2) | 2021.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