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초
- 삼을 가공해서 만드는 '마약류'의 일종
- 영어로는 cannabis(칸나비스), marijuana(마리화나), weed, hemp 등으로 불린다.
-한국에서는 대마초의 생산이나 소비가 모두 불법
-한국의 법률상 대마는 '마약'이 아니라 '마약류'의 하위 항목으로 분류되고 있다.
-'마약류'라는 범주 안에 '마약', '향정신성의약품', '대마초'가 속함.
-해외에서는 전면적으로 또는 의료용 등 부분적으로 합법화한 나라가 있다.
-네덜란드와 캐나다에서는 합법화되어 있고, 아시아에서는 태국이 2022년 최초로 대마초를 합법화
-미국은 연방법으로 대마 금지, 모든 주에서 법으로 금지되어있다. 주마다 다른 것은 범죄여부.
■환각 성분인 THC
-> 델타나인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delta-9 tetrahydrocannabinol, THC)
■의료용 성분인 CBD
->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불안장애와 인식장애, 운동장애, 진통 등에 효과가 있다.
-뇌전증 치료제로 사용.
-미국의 경우 2018년 농업개선법을 통해 0.3% 미만의 THC를 함유한 대마를 농산물로 법제화.
-미국 FDA는 2018년 6월 뇌전증 치료제인 에피디올렉스(Epidiolex)의 사용을 승인.
-한국은 정부와 지자체에서 국내 생산 대마의 활용을 검토 중.
-환각 물질인 THC 함유량이 0.3% 미만인 대마를 현행 마약류관리법에서 분리해 내는 방식 등으로 규제 완화 방안을 통해 산업화를 구상 중
-중소벤처기업부와 경상북도는 2021년 4월 국내 최초로 헴프(HEMP)의 산업화 가능성을 검증하는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실증에 착수
■국내에서 의료용 대마는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를 통해 공급되어 사용되고 있음.
1. 에피디올렉스(Epidiolex) oral solution |
![]() |
■성분: Cannabidiol
■적응증: 2세 이상 환자에서 clobazam과 병용하여 레녹스-가스토 증후군(Lennox-Gastaut syndrome, LGS) 또는 드라베 증후군(Dravet syndrome, DS)와 관련된 발작의 보조요법
■용법, 용량
|
2. 사티벡스(Sativex) 구강용스프레이 |
![]() |
■성분: Cannabidiol
■적응증:
|
■referance
https://www.epidiolex.com/
https://www.gwpharm.co.uk/
Cannabidiol: Drug information, lexicomp_up to date, acess date: 23.04.26
센터공급 의약품 정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
'💉전문약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정신병약의 분류(정형/비정형, 1,2,3세대) (0) | 2023.04.28 |
---|---|
발작 역치(seizure threshold) 낮추는 약물 (0) | 2023.04.27 |
건조시럽 조제법 (계산예시_바난 건조시럽, 듀리세프 건조시럽) (0) | 2023.04.25 |
용량주의 약물과 최대용량 정리 (0) | 2023.04.24 |
Fluid therapy 수액 요법] 정질(crystalloid)용액과 교질(colloid)용액 (0) | 2023.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