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O7NiE/btsqKEKS6Z5/uZeFUwkryk3G3hAWbRpSb1/img.png)
<의료기관의 분류>
-의료법 [시행 2023. 5. 19.] [법률 제19421호, 2023. 5. 19., 일부개정]에 따른 의료기관의 정의와 분류는 다음과 같다.
◆의료기관의 정의
의료인이 공중(公衆) 또는 특정 다수인을 위하여 의료ㆍ조산의 업(이하 “의료업”이라 한다)을 하는 곳
◆의료기관의 구분
1. 의원급 의료기관: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가 주로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그 의료행위를 하는 의료기관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2. 조산원:
- 조산사가 조산과 임산부 및 신생아를 대상으로 보건활동과 교육ㆍ상담을 하는 의료기관을 말한다.
3. 병원급 의료기관
-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가 주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의료행위를 하는 의료기관
-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 종합병원
* 병원ㆍ치과병원ㆍ한방병원 및 요양병원은 3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추어야 한다.
* 종합병원의 경우 10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병상 수에 따라 진료과목과 전문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100병상 이상 300병상 이하 | 내과ㆍ외과ㆍ소아청소년과ㆍ산부인과 중 3개 진료과목,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와 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를 포함한 7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둘 것 |
300병상 초과 |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 정신건강의학과 및 치과를 포함한 9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둘 것 |
◆상급종합병원
-중증질환에 대하여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전문적으로 하는 종합병원
-11개 진료권역별로 인력‧시설‧장비, 진료, 교육 등의 항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우수한 병원을 3년마다 보건복지부에서 지정한다.
-종별가산율: 상급종합병원 30%, 종합병원 25%, 병원 20%, 의원 15%
<제4기 상급종합병원 명단> (기간: 2021.1.1.~2023.12.31.)
-전국 총 45개
-밑줄은 신규 지정기관(강릉아산병원, 삼성창원병원, 울산대병원, 이대목동병원)
-노란색 밑줄은 빅5병원(삼성서울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세브란스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
진료권역(11개) | 지정기관명 * 가나다순 |
서울권(14개) | 강북삼성병원, 건국대학교병원, 경희대학교병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구로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강남세브란스병원,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목동병원, 재단법인아산사회복지재단서울아산병원, 중앙대학교병원,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안암병원), 학교법인가톨릭학원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 학교법인연세대학교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한양대학교병원 |
경기 서북부권(4개) | 가톨릭대학교인천성모병원, 순천향대학교부속부천병원, 의료법인길의료재단길병원, 인하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
경기 남부권(4개) |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안산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아주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성심병원 |
강원권(2개) | 강릉아산병원, 연세대학교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
충북권(1개) | 충북대학교병원 |
충남권(3개) | 단국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순천향대학교부속천안병원, 충남대학교병원 |
전북권(2개) | 원광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
전남권(3개) | 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경북권(5개) | 경북대학교병원, 계명대학교동산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
경남동부권(5개) | 동아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학교법인울산공업학원울산대학교병원 |
경남서부권(2개) | 경상대학교병원, 학교법인성균관대학삼성창원병원 |
출처: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5병원이란?>
-병상수와 매출액에서 1~5위에 해당했던 상급종합병원을 지칭한다.
-그러나 2022년 기준 병상수 기준에서 가천대 길병원이 서울성모병원을 제치고 병상수에서 5위로 올랐으며,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이 진료비 청구액 부문에서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을 제쳤기 때문에 변동 가능성이 있다.
-매출액을 기준으로는 위의 다섯 곳이 여전히 1~5위.
<빅5병원 & 분당서울대병원 병상수 비교>
- 한국의료기관평가인증원, KOIHA 허가병상수 (23.08.10 업데이트 기준)
서울아산병원 | 2,743 병상 |
세브란스병원 | 2,462 병상 |
삼성서울병원 | 2,000 병상 |
서울대학교병원 | 1,793 병상 |
서울성모병원 | 1,362 병상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1,335 병상 |
'🌵개인 공부 > 약대진로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약회사_머크, 몰누피라비르 (0) | 2021.10.07 |
---|---|
중소제약사와 CSO(Contarcts sales oranization, 판매대행사) (0) | 2021.09.21 |
대세로 떠오른 방사성의약품_기사 스크랩 (0) | 2021.01.21 |
방사성 의약품 (0) | 2021.01.21 |
약시과목 미리보기 (1) | 2020.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