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EET자료/생물학

폐혈증 아니고 패혈증

by 소우118 2020. 6. 16.

면접 공부할 때 중요하게 공부한 내용인데도 나조차 자꾸 폐혈증이라 쓰게 된다..

패혈증은 질병에 관심이 많거나 공부를 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더욱이 잘 모를것같다.

더구나 요즘 상황에서는 호흡기 질환에 대한 공포심 때문에 막연하게

'폐'병의 한 종류로 받아들여 버리는 사람들도 많은 듯하다.

그러나 패혈증은 허파를 뜻하는 폐肺 자가 아닌 부패할 패敗 자를 쓴다.

패혈敗血 은 직역하면 피가 썩었음을 의미하고,

질환의 정의로는 미생물에 의한 전신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 패혈증은 생각보다 훨씬 흔하고 치명적인 질환이다.

통계청의 2018년 주요 사망자 통계를 살펴보니 다음과 같았다. 

 

통계청. 2018년 주요 사망원인 통계

 

패혈증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주요 사망원인 10위권에 든다.

(패혈증의 순위에도 놀랐지만 자살률에도 놀랐다..)

다시 패혈증으로 돌아가면..

폐렴은 폐에 염증이 나타는 것이고, 패혈증은 전신적인 염증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폐렴이 패혈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관계가 된다.

이밖에도 뇌수막염, 복막염, 신우신염 등의 다양한 감염이 패혈증으로 진행할 수 있고,

상처나 음식물을 통해 침투한 미생물이나

우리 몸의 상재균이 병원균이로 작용하며 패혈증을 일으킬수도 있다. 

패혈증은 치료가 반드시 치료하며 치료시에는 원인 미생물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인 미생물이 바이러스인지 세균인지, 진균인지

세균이라면 정확히 어떤 세균인지 알아야 맞는 약을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미생물의 정확한 개념은 무엇인가?

미생물(microorganism)은 맨눈으로는 관찰 할 수 없는 작은 생물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진균(Fungi), 원생동물(Protozoa), 세균(Bacteria),바이러스(Virus), 조류(Algae) 등을 포함한다. 정확한 학술용어가 아니라 인위적 분류이기 때문에 무생물인 바이러스 등도 포함된다. 

*염증이란?

염증은 조직의 손상 및 감염에 대한 생체의 방어 반응으로,
면역세포의 작용과 혈액 응고 작용 등을 통해 감염체를 제거하는 과정을 뜻한다.
이 과정에서 발열, 부종, 통증 등을 일으키며 후에 조직이 재생되는 것까지 정의에 포함된다.  



반응형

'😇PEET자료 > 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물의 발생과정 정리  (0) 2021.01.22
바이러스 분류_코로나19와 사스, 메르스의 관계  (0) 2021.01.12
뇌전증(epilepsy)  (0) 2020.07.14
생물_암생물학  (0) 2020.06.16
호르몬 정리(일반생물학 수준)  (0) 2020.06.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