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sopressor와 inotropes를 번역해놓긴 했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영어로 사용하는게 더 편하고 뜻도 명확해지는 것 같다. 혈관수축제, 심장근육수축제란 말 자체도 쉽지 않음.
*자료는 lexicomp_up to date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음
👩🔬Vasopressor (혈관수축제, 혈압상승제, 승압제)
:혈관 수축을 유도하여 MAP(mean arterial pressure, 평균 동맥압)을 상승시키는 약물.
참고: Vasopressor 적응증 (Vasopressors are indicated for)
-MAP <60 mmHg 이거나
-baseline으로부터 SBP(systolic blood pressure)가 30mmHg 이상 감소했을 때
👩🔬Inotrope(심장근육수축제)
: 심장 수축력(cardiac contractility)을 증가시키는 약물
* Vasopressor와 Inotrope 효과를 모두 가지는 약물도 많음.
종류 | 적응증과 특징 | |
Vasopressor (alpha-1 adrenergic) |
Norepinephrine (noradrenaline) 노르에피네프린 |
■septic, cardiogenic, and hypovolemic shock에 사용 ■임상에서 사용하는 dose range가 다양하다. ■희석해서 사용해야 함. 일반적으로 D5W 또는 NS 250mL에 4mg(16 micrograms/mL). |
Epinephrine (adrenaline) 에피네프린 |
■anaphylactic shock에 사용 ■septic shock에서 목표 MAP를 달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요법이 필요한 경우 Norepinephrine에 병용하여 보조요법으로 사용. ■Norepinephrine 금기시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음. ■심박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tachyarrhythmias(빈맥)과 ischemia(허혈)을 유발할 수 있음 ■Inotropy(심근수출력)을 위해서는 고용량이 필요함(제한 범위 내에서). ■초기 투여 시 lactate 농도가 상승할 수 있으며(lactate clearance에 영향), 장간막의 혈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 ■ 희석해서 사용해야 함. 일반적으로 D5W 250mL에 1mg (4 micrograms/mL) |
|
Phenylephrine 페닐레프린 |
■ 순수한 alpha-adrenergic vasoconstrictor ■ Norepinephrine 사용이 불가능한 tachyarrhythmias(빈맥)에 사용. ■ 다음과 같은 환자의 septic shock에서 대안적 vasopressor로 사용. (1) Norepinephrine , Epinephrine, dopamine을 사용하여 빈맥이 발생한 경우 (2) 바소프레신을 포함한 두 개 이상의 vasopressor 및 inotrope를 사용하여 지속적인 쇼크가 유지되는 경우(응급 요법) (3) 심장 출력량이 높지만 지속적인 저혈압이 있는 경우 ■심장 기능 장애 환자에서 stroke volume과 cardiac output 을 감소시킬 수 있음. ■ rapid sequence intubation 기간 동안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50~100 mcg의 bolus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음 ■희석이 필요하며, 일반적인 농도는 D5W 또는 NS 250mL에 10mg (40mcg/mL)임. |
|
Dopamine 도파민 |
■Bradycardia나 tachyarrhythmias의 위험이 낮은 환자들의 septic shock에서 norepinephrine의 대안으로 쓸 수 있음. ■septic shock에서 hypotension을 반전시키데 있어서 norepinephrine보다 덜 효과적이며, 부작용이 더 많이 발생함. (예: tachycardia_빈맥, arrhythmias_부정맥, 특히 20 mcg/kg/분 이상 투여 시에) ■콩팥 보호를 위해 낮은 용량 (예: 1~3 mcg/kg/분)으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Weaning 중 hypotension의 원인이 될 수 있기때문. ■희석이 필요하며, 일반적인 농도는 D5W 250 mL 당 400 mg [1.6 mg/mL] 또는 D5W 250 mL 당 800 mg [3.2 mg/mL] |
|
Antidiuretic hormone | Vasopressin 바소프레신 |
■first-line vasopressor의 대안으로는 추천하지 않는다. ■target MAP에 도달시키기 위해서 norepinephrine에 추가하여 사용하거나, norepinephrine 요구량을 줄이고 싶을 때 사용. ■순수한 혈관수축작용(vasoconstrictor)을 함. ■심근 기능 저하 환자에서는 stroke volume과 cardiac output을 감소시킬 수 있음. ■관상동맥 질환에서는 ischemia(국소 허혈)을 감소시킬 수 있음. ■희석이 필요하며, 일반적인 농도는 D5W 또는 NS 250 mL에 25 units (0.1 unit/mL)로 주입함. |
Inotrope (beta1 adrenergic) |
Dobutamine 도부타민 |
■Cardiac output과 혈압이 낮은 환자에서의 cardiogenic shock에 사용 ■다음과 같은 경우에 norepinephrine에 추가하여 쓸 수 있다. 1) 심근기능에 문제가 없는 경우의 septic shock에서 cardiac output을 증가시키고자 할 때 (예. In elevated left ventricular filling pressures and adequate MAP) 2) 충분한 intravascular volume 과 vasopressor 사용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hypoperfusion(저관류) 상태인 환자 ■심장 수축력과 심박수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로 인해 저혈압과 맥박이 빨라지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음. ■희석이 필요하며, 주로 500 mL D5W 또는 NS 250 mg (0.5 m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 pre-diluted solution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
Inotrope (nonadrenergic, PDE3 inhibitor) |
Milrinone 밀리논 |
■다른 약에 불응성인 cardiogenic shock에서, organ perfusion 유지를 위해 cardiac output을 단기적으로 증가시키고자 할 때 ■고용량에서 심장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심박수를 적당히 증가시키지만 말초혈관확장, 저혈압, 심실 부정맥 등을 유발할 수 있음. ■신장에서 대사되기 때문에 신장 손상 환자에서는 용량 조절이 필요. ■반드시 희석해서 사용해야하며, 일반적으로 D5W 200mL에 40mg을 투여하여 200 mcg/ mL의 농도로 사용함. pre-diluted solution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
Q. 도파민과 도부타민의 차이?
-도파민은 Vasopressor (혈관수축제, 혈압상승제, 승압제)이고 alpha-1 adrenergic에 작용. | ![]() |
-도부파민은 Inotrope(심장근육수축제)이고 beta1 adrenergic에 작용. | ![]() |
-상세한 적응증 차이는 위의 표를 참고할 것.
반응형
'💉전문약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술 진정과 진통, Procedural sedation and analgesia (PSA) (0) | 2023.04.19 |
---|---|
항응고제의 분류와 대표 약품들 (0) | 2023.04.18 |
면역관련 약물 분류와 예시 (0) | 2023.03.26 |
파킨슨병 주요 약물 목록 (0) | 2022.12.25 |
RTI(역전사 효소 저해제) 분류 (0) | 2022.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