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EET자료/PEET공부팁

문과생이 피트 n수 하는 이유

by 소우118 2021. 1. 30.

문과생(혹은 물리 못하는 이과생)이 n수 하는 이유를 생각해봤다.

이건 내가 약대 입시에 연거푸 실패하면서 분석했던 것들인데, 비슷한 상황이라면 도움이 될 것 같아 적어두려고 한다.

 

 

<문과생 or 이과인데 물리, 화학 못하고 생물만 좋아하는 사람 특징>

=n수 하는 이유

 

1. 외우는 건 잘하는데 추론은 못 함

2. 숫자에 대한 감각 없음

3. 기출을 반복해서 문제 풀이를 외우면 시험 문제도 잘 풀릴 거라 생각

4. 공부를 많이 했는데도 늘 새로운 문제가 나오는 게 이해가 안 감

5. 물리, 화학도 원리를 모두 이해한 후에, 이야기 형식으로 엮어서 외우고 싶음

 

 

 

<해결법>

결론부터 말하면

앞에 적어 놓은 것 중에 2번만 빼고 해결이 된다.

물리, 화학을 잘못하는 건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방법을 몰라서이기 때문이다.

특히나 피트나 수능 시험 문제 풀이는 방법을 제대로 알고, 연습하면 잘 할 수 있다.

 

1. 외우는 건 잘하는데 추론은 못 함

-> 잘 외우는 건 강점이 될 수 있고, 추론의 경우 배우면 됨.

-> 화학 박인규 선생님 평형강의를 들어보는 것을 추천. 

*생물 암기형 문제에서 더 맞출 수 있도록 제대로 암기하기. 그리고 약대에 들어가기만 하면 대부분 암기과목.

 

2. 숫자에 대한 감각 없음

-> 이건 내 경우엔 해결못함. 숫자 자릿수나 계산에 약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그것 때문에 틀리기 쉬운 것들을 메모해놓는 정도로만 보완함.

 

3. 기출을 반복해서 문제 풀이를 외우면 시험 문제도 잘 풀릴 거라 생각

4. 공부를 많이 했는데도 늘 새로운 문제가 나오는 게 이해가 안 감

->3, 4번은 원인이 같은 문제다. 이건 PEET 시험 자체에 대한 이해를 잘못한 건데..

피트는 ‘추론’ 시험이다. 과목명을 봐도 생물추론, 물리추론, 화학추론이다.

그래서 기출만 반복해서는 안 풀리고, 매번 새로운 문제를 나오는 게 당연하단 것부터 이해를 해야한다.

이 이해 자체가 중요한 게 이걸 못하면

공부 방법도 잘못된 방향으로 하게 되고,

시험 때도 당황해서 풀 수 있는 문제도 못 풀게 되기 때문이다.

 

열심히 외우고, 문풀을 반복해도 안 풀림

안 외운 걸 내고, 새로운 문제를 내서 추론 능력을 보는 것이 피트 시험의 목표 그 자체임

 

 

5. 물리, 화학도 원리를 모두 이해한 후에, 이야기 형식으로 엮어서 외우고 싶음

-> ‘원리나 이유를 몰라도 되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기

-> 원리나 이유를 이해할 필요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을 잘 선별 하기.

(보통 강사가 알려주는 것에서 크게 벗어 나지 않으면 됨. 이미 선별 해놓음)

-> ‘요리 레시피’라 생각하자

 

처음에 공부를 할 때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렸던 이유 중 하나인데..

나는 모든 과목의 내용에 대해서

내가 받아들일 수 있는 이유나 원리가 있어야만 외울 수가 있었다.

예컨대 역사 과목처럼 ‘어떤 선행 사건이 있었고, 상황이 있어서 그런일이 발생했다더라’ 하는 식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내용이 정리가 되어야만 했다.

피트 과목을 공부할 때도 계속 원리나 이유를 찾으려고 했고, 고민 끝에 선생님한테 질문하면 거의 이런 답이 돌아왔다.

‘그건 알 필요없어요, 궁금해하면 안 돼요.’

처음에는 알 필요가 없다는 걸 넘어서, 궁금해하면 손해라는게 이해가 안 갔는데 이제 이해가 간다.

해결책 중에 ‘요리 레시피’라 생각해보란 말이 있는데,

유기화학을 예시로 들어보면 유기화학도 요리처럼 유기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것이고, 그냥 재료랑 합성방법만 외우면 된다.

 

내가 했던 실수는

약불에서 계란이랑 소금을 넣고 쪄야 계람찜이 된단 레시피가 있고,

그걸 외우고 숙지해서 계란찜을 만들어야하는 건데..

왜 약불이어야되고, 계란이랑 소금이 왜 나왔는지 소금 말고 다른 걸 넣으면 안되나를 궁금해하는 격이었다.

약불이어야하는 이유도 있을 거고, 소금 말고 다른 걸 넣을 수 있는 방법도 있겠지만

목적에 맞지않는것이다.

 

 

 

<기타 조언>

-생활루틴 정하기

-풀커리에 집착X (n수 하며 풀커리 모두 들은 과목 하나도 없음)

-필기 정리를 하되, 너무 시간쏟지 말기 (합격생 노트 같은 것을 활용하기)

-문답식 암기 하기

-모든 과목의 목차는 무조건 외우고 있어야 함. 

-> 이 블로그에도 피트 목차 글이 몇개 있고, 유튜브에서 '목차암기' 검색해보기

2021/01/13 - [PEET자료/노트] - PEET 화학 목차

2021/01/10 - [PEET자료/유기화학1] - 피트유기 목차_0차례

 

-나이에 대해서

그냥 약대가자나 학원에서 알음알음 물어보는 것 보다 훨씬 더 나이 많은 사람많음.

소위 정량대의 경우 1/3 이상이 이십대 후반~삼십대



반응형

'😇PEET자료 > PEET공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트와 약대 관련 QnA  (141) 2021.05.02
문과생 피트 강사, 커리 추천  (50) 2021.01.30
PEET 시험 준비물  (0) 2020.07.23
토익 part5, 6 오답 노트  (0) 2020.06.16
토익 전략 노트  (0) 2020.06.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