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대 전공공부/제약산업학

제약 산업학_4장. 의약품의 생산(수처리시설/주사제/GDP)

by 소우118 2021. 12. 30.

*CMC(Chemistry, Manufacturing, Control): 의약품의 특성, 품질을 고려하여 상용 생산할때의 기준을 설정하는 것. 식약처 허가 신청시에도 이 CMC 전략을 어떻게 짜느냐가 중요하다.

 

1. 의약품 생산공장 & 수처리 시설

 

Clean room의 분류, 원리(laminar flow)

◆의약용수의 분류

Monograph PW의 분류 용도상 분류
1) DI water (deionized water)
2) PW (purified water)
3) WFI (water for injection)
1) processing/formulated water (제조 및 완제품)
2) cleaning water (반죽씻기)
3) final rinsing water (헹굼용. 주사용제의 경우 PW -> WFI)

 

◆워터 시스템 4가지 과정

원수 지하수나 상수쓰고, 지하수는 Cl2나 오존으로 살균,
*sanitization -> Chlorination
가공처리 카본필터,
이온교환수지(EDI=elctro deioniztion),
RO(reverse osmosis)
UV lamp(미생물 자가복제 방지),
보관 PW로 보관. 다시 증류 거쳐 WFI(PW에서 엔도톡신 제거되면 됨)
순환 여러 개의 use point 있음.

 

WFI 기준 4가지? (매일 확인)

1. TOC(total of organic carbon): 유기물질이 얼마나 들었나

2. conductivity: 이온이 없을수록 낮음

3. bacteria: 미생물 수 기준 있음. * 미생물학적 오염(bioburden)

4. endotoxin

+PH

 

◆새로운 워터 시스템 가동 전 해야 할 것. (단계마다 end point 정해놓고 확인해야 함)

Degreasing 600리터의 PW, 100% NaOH greasy한 물질 제거. 30
Flush the circulation loop 진행
Passivation Resistance 증가 시키기. PW 69% nitric acid 넣고 30.
Flush the circulation loop 진행
Sanitization 80도 물로 2시간
121도 물이라면 30

 

◆수질 오염 -> 파이프 문제, 계절 편차 존재(여름엔 미생물 많음. -> 여름엔 모니터링 횟수 늘린다)

 

Action limit: 법적 기준

Alert limit: 내부 관리 기준

  

 

 

2. 주사제(injections)의 생산

주사제 생산법의 종류 * 전공정은 용기세척과 멸균/ fiiling부터 후공정임.

1) 처음부터
aseptic process (무균)으로 생산:
조제탱크에서 PH 맞춰주고
-> filling -> stoppering -> capping
-> visual inspection
2) micro filteration
 
조제탱크-> micro filteration
-> filling -> stoppering -> capping
-> visual inspection
3) autocleaving
 
조제탱크
-> filling -> stoppering -> autocleaving > capping
-> visual inspection

 

◆주사제 내용물 넣는 순서

: WFI -> exponents(부형제) -> API(주성분)

 

◆프리필드 주사제: 끝 부분만 딸깍 껴서 주사 가능

 

◆주사제 생산 공장 특징: 무균실, QC 실험실

 

◆미생물학적 오염(bioburden)에 대한 청정도 모니터링

Passive 모니터링 낙하미생물-> 4시간 마다 진행.
표면 미생물
Active 모니터링 부유 무생물

 

◆멸균에 대한 이론적 이해

D value
(decimal reduction value)
: 1 log reduction하는 시간(90퍼센트 줄이는 거죠)
▶멸균 확인.
6 log reduction을 표준으로 함.( 글로벌 표준은 아님)
SAL(sterility assurance level) of 106을 달성한 후,
추가로 6 log  reduction해야함,
▶즉 총 12 log reduction 필요.
106 -> 1 -> 0.000001
F0 value
 
멸균의 효과
121도를 기준으로 하는 절대 사멸시간.
멸균 minimum 8.
=최소 8분 이상 해야 한다공
BIS
BI=Biological Indicator
명균 validation
멸균은 spore까지 없애야 하는데, 그걸 확인하는 지표.
온도,압력,습도가 가장 낮은 곳. 즉 멸균력이 가장 작은 point에 두는 것이 좋다.

 

 

 

◆멸균법의 종류(멸균은 spore까지 없애야 함!) -> sterile 또는 aseptic이라 한다.

◆주사제 공정 setting 절차

 

 

3. GMP -> consistency(품질의 일관성), 항상 목표된 품질의 의약품을 생산

4M: material, machine, men, method

=원료, 생산장비, 작업원, 공정

 

GMP quality assurance(품질보증)의 일종으로, 제품의 일정한 생산과 컨트롤을 보장한다. 원리와 절차의 세트, 즉 일종의 '시스템'이다. ->아래 그림의 5가지를 모두 포함하는 세트, 시스템 개념이란 것을 이해하자.

GMP라는 것은 한 batch의 제품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관련된 모든 stage를 포함하는 시스템적인 개념이다. 이러한 디자인은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함이고, 이것은 곧 의약품 품질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작게는 생산과 퀄리티 컨트롤 기능을 하는 것이고,

▶크게는 생산과 퀄리티 컨트롤을 잘 해서 퀄리티 assurance를 받고, QMS를 하는 것 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GMP의 협의와 광의가 있다는 정도로 이해하면 될듯

▶각 제형별 GMP 요건은 다르다.

 

  

quality management system(QM system)

▶의약품, 주원표 제조업자가 준수해야하는 규정. 일종의 문서화된 매뉴얼.

▶모든 공정과 수행 책임 까지 규정

▶품질에 영향을 주는 모든 과정을 체계적으로 통제해야하고 QA, QC 분 아니라 모든 요소를 대상에 적용해야 한다.

▶품질관리체계요건보더 더 명확하고 실제적인 준수요건.

▶공장시설의 제원, 특징 + 품질정책 + 업무규정 + 모든 품질관리시스템 운영

 

 

OOS

생산한 의약품에 대해 시험을 했는데 기준 부적합이 나온 경우를 말함.

이때 생산이 아닌 시험이 잘 못 됐을 가능성도 있으니, 시험을 반복해보는데 여기에 대한 규정도 정해져있다.

OOS 기준은 회사마다 기준은 조금씩 다름.

예를 들어서 시험을 다시 해봤는데 첫 시험에서 O(적합)가 나오고, 두 번째 시험에서 X(부적합)나오면, 3번째 시험까지 함.

그런데 첫 시험에서 X나오고, 두번때도 X나왔다면 절대 3번째 시험은 진행하지 않음. 이 경우는 시험을 조작하려는 시도로 간주하고, 업계에선 이러한 조작을 데이터 cooking이라 함.

 

 

 

GOOD DOCUMENTATION PRACTICES (GDP)

GDP에는 traceability(추적성) compliance(적법성)이 중요하다.

이 두가지를 충족시켜야만 data integrity를 확보할 수 있다. (데이터의 신뢰성 같은 개념) 어떻게 data intergrity risk를 최소화하나?

= 앞서 말한 것 처럼 허위 자료로 취급받게 되는 일을 피하는 방법 *pharmaguideline.com -> 각종 규정을 잘 보여주는 좋은 사이트라 함.

Audit Trail: 일종의 소프트웨어. 모든 전자 EDPS(전자정보처리시스템) 에는 이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어야 함. 모든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되고, 임의로 편집시 그 편집 기록까지 자동으로 모두 남음. 데이터를 임의로 조작하거나 숨기지 못하게 함

 

 

Some tips on GDP.

▶기록은 수행과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기록은 나중에 해야지~ 이거 안됨.

▶카피본은 일정 기간동안 보관해야 한다.

▶기록은 적어도 만료일 보다 1년 넘게 더 보관하는 것이 좋다. 얼마나 더 보존하느냐는 회사다 다르지만, 규정으로 정한 기간이 있어야함.

document 타입에 따라서 보존 기간이 정해져있음. 회사, 나라마다 다르다. >

 

Regulations for Pharmaceutical Industry

GMP regulations -> 기타 등등의 OOS -> 각 나라의 GMP 따름

ICH guideline -> stability -> ICH 가이드라인 씀.

ISO ->환경 모니터링에 관련된 규약. 청청도 -> ISO 규정 씀

ISPE ->의약품 만드는 제약 공장을 건설할때 ISPE 따랐다고 하고, 그 자료만 제출하면 inspection !

*CMC(Chemistry, Manufacturing, Control): 의약품의 특성, 품질을 고려하여 상용 생산할때의 기준을 설정하는 것. 식약처 허가 신청시에도 이 CMC 전략을 어떻게 짜느냐가 중요하다.

1. 의약품 생산공장 & 수처리 시설

 

Clean room의 분류, 원리(laminar flow)

  

◆의약용수의 분류

Monograph PW의 분류 용도상 분류
1) DI water (deionized water)
2) PW (purified water)
3) WFI (water for injection)
1) processing/formulated water (제조 및 완제품)
2) cleaning water (반죽씻기)
3) final rinsing water (헹굼용. 주사용제의 경우 PW -> WFI)

 

◆워터 시스템 4가지 과정

원수 지하수나 상수쓰고, 지하수는 Cl2나 오존으로 살균,
*sanitization -> Chlorination
가공처리 카본필터,
이온교환수지(EDI=elctro deioniztion),
RO(reverse osmosis)
UV lamp(미생물 자가복제 방지),
보관 PW로 보관. 다시 증류 거쳐 WFI(PW에서 엔도톡신 제거되면 됨)
순환 여러 개의 use point 있음.

 

WFI 기준 4가지? (매일 확인)

1. TOC(total of organic carbon): 유기물질이 얼마나 들었나

2. conductivity: 이온이 없을수록 낮음

3. bacteria: 미생물 수 기준 있음. * 미생물학적 오염(bioburden)

4. endotoxin

+PH

 

◆새로운 워터 시스템 가동 전 해야 할 것. (단계마다 end point 정해놓고 확인해야 함)

Degreasing 600리터의 PW, 100% NaOH greasy한 물질 제거. 30
Flush the circulation loop 진행
Passivation Resistance 증가 시키기. PW 69% nitric acid 넣고 30.
Flush the circulation loop 진행
Sanitization 80도 물로 2시간
121도 물이라면 30

 

◆수질 오염 -> 파이프 문제, 계절 편차 존재(여름엔 미생물 많음. -> 여름엔 모니터링 횟수 늘린다)

 

Action limit: 법적 기준

Alert limit: 내부 관리 기준

 

 

 

2. 주사제(injections)의 생산

주사제 생산법의 종류 * 전공정은 용기세척과 멸균/ fiiling부터 후공정임.

1) 처음부터
aseptic process (무균)으로 생산:
조제탱크에서 PH 맞춰주고
-> filling -> stoppering -> capping
-> visual inspection
2) micro filteration
 
조제탱크-> micro filteration
-> filling -> stoppering -> capping
-> visual inspection
3) autocleaving
 
조제탱크
-> filling -> stoppering -> autocleaving > capping
-> visual inspection

 

◆주사제 내용물 넣는 순서

: WFI -> exponents(부형제) -> API(주성분)

 

◆프리필드 주사제: 끝 부분만 딸깍 껴서 주사 가능

 

◆주사제 생산 공장 특징: 무균실, QC 실험실

 

◆미생물학적 오염(bioburden)에 대한 청정도 모니터링

Passive 모니터링 낙하미생물-> 4시간 마다 진행.
표면 미생물
Active 모니터링 부유 무생물

 

◆멸균에 대한 이론적 이해

D value
(decimal reduction value)
: 1 log reduction하는 시간(90퍼센트 줄이는 거죠)
▶멸균 확인.
6 log reduction을 표준으로 함.( 글로벌 표준은 아님)
SAL(sterility assurance level) of 106을 달성한 후,
추가로 6 log  reduction해야함,
▶즉 총 12 log reduction 필요.
106 -> 1 -> 0.000001
F0 value
 
멸균의 효과
121도를 기준으로 하는 절대 사멸시간.
멸균 minimum 8.
=최소 8분 이상 해야 한다공
BIS
BI=Biological Indicator
명균 validation
멸균은 spore까지 없애야 하는데, 그걸 확인하는 지표.
온도,압력,습도가 가장 낮은 곳. 즉 멸균력이 가장 작은 point에 두는 것이 좋다.

 

 

 

◆멸균법의 종류(멸균은 spore까지 없애야 함!) -> sterile 또는 aseptic이라 한다.

 

◆주사제 공정 setting 절차

 

3. GMP -> consistency(품질의 일관성), 항상 목표된 품질의 의약품을 생산

4M: material, machine, men, method

=원료, 생산장비, 작업원, 공정

 

GMP quality assurance(품질보증)의 일종으로, 제품의 일정한 생산과 컨트롤을 보장한다. 원리와 절차의 세트, 즉 일종의 '시스템'이다. ->아래 그림의 5가지를 모두 포함하는 세트, 시스템 개념이란 것을 이해하자.

GMP라는 것은 한 batch의 제품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관련된 모든 stage를 포함하는 시스템적인 개념이다. 이러한 디자인은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함이고, 이것은 곧 의약품 품질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작게는 생산과 퀄리티 컨트롤 기능을 하는 것이고,

▶크게는 생산과 퀄리티 컨트롤을 잘 해서 퀄리티 assurance를 받고, QMS를 하는 것 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GMP의 협의와 광의가 있다는 정도로 이해하면 될듯

▶각 제형별 GMP 요건은 다르다.

  

quality management system(QM system)

▶의약품, 주원표 제조업자가 준수해야하는 규정. 일종의 문서화된 매뉴얼.

▶모든 공정과 수행 책임 까지 규정

▶품질에 영향을 주는 모든 과정을 체계적으로 통제해야하고 QA, QC 분 아니라 모든 요소를 대상에 적용해야 한다.

▶품질관리체계요건보더 더 명확하고 실제적인 준수요건.

▶공장시설의 제원, 특징 + 품질정책 + 업무규정 + 모든 품질관리시스템 운영

 

 

OOS

생산한 의약품에 대해 시험을 했는데 기준 부적합이 나온 경우를 말함.

이때 생산이 아닌 시험이 잘 못 됐을 가능성도 있으니, 시험을 반복해보는데 여기에 대한 규정도 정해져있다.

OOS 기준은 회사마다 기준은 조금씩 다름.

예를 들어서 시험을 다시 해봤는데 첫 시험에서 O(적합)가 나오고, 두 번째 시험에서 X(부적합)나오면, 3번째 시험까지 함.

그런데 첫 시험에서 X나오고, 두번때도 X나왔다면 절대 3번째 시험은 진행하지 않음. 이 경우는 시험을 조작하려는 시도로 간주하고, 업계에선 이러한 조작을 데이터 cooking이라 함.

 

 

 

GOOD DOCUMENTATION PRACTICES (GDP)

GDP에는 traceability(추적성) compliance(적법성)이 중요하다.

이 두가지를 충족시켜야만 data integrity를 확보할 수 있다. (데이터의 신뢰성 같은 개념) 어떻게 data intergrity risk를 최소화하나?

= 앞서 말한 것 처럼 허위 자료로 취급받게 되는 일을 피하는 방법 *pharmaguideline.com -> 각종 규정을 잘 보여주는 좋은 사이트라 함.

Audit Trail: 일종의 소프트웨어. 모든 전자 EDPS(전자정보처리시스템) 에는 이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어야 함. 모든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되고, 임의로 편집시 그 편집 기록까지 자동으로 모두 남음. 데이터를 임의로 조작하거나 숨기지 못하게 함

 

 Some tips on GDP.

▶기록은 수행과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기록은 나중에 해야지~ 이거 안됨.

▶카피본은 일정 기간동안 보관해야 한다.

▶기록은 적어도 만료일 보다 1년 넘게 더 보관하는 것이 좋다. 얼마나 더 보존하느냐는 회사다 다르지만, 규정으로 정한 기간이 있어야함.

document 타입에 따라서 보존 기간이 정해져있음. 회사, 나라마다 다르다. >

 

Regulations for Pharmaceutical Industry

GMP regulations -> 기타 등등의 OOS -> 각 나라의 GMP 따름

ICH guideline -> stability -> ICH 가이드라인 씀.

ISO ->환경 모니터링에 관련된 규약. 청청도 -> ISO 규정 씀

ISPE ->의약품 만드는 제약 공장을 건설할때 ISPE 따랐다고 하고, 그 자료만 제출하면 inspection !

만 제출하면 inspection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