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발 골수종(Multiple Myeloma) 이란?
- 우리 몸에서 면역항체를 만드는 형질세포가 혈액암으로 변하여 주로 골수에서 증식하는 질환
- 암세포로 변한 형질세포는 정상적인 항체 대신 비정상 단클론단백(M 단백)을 분비한다.
- 이로 인해 뼈 병변, 통증, 빈혈, 신장 기능 이상, 고칼슘 혈증 및 감염과 같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 다발 골수종의 분류
- 고립성 형질세포종(Solitary Plasmacytoma)
- 무증상/무증상성 골수종(Smoldering/ asymptomatic Myeloma)
- 활성/증상성 골수종(Active/ symptomatic Myeloma)
- 다발 골수종(Multiple Myeloma)
■ 다발 골수종 검사법?
-예후 파악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다발성골수종을 다른 형질 세포 종양/이온화증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환자의 초기 정밀검사에는 병력 및 신체 검사가 포한되어야 한다.
골수검사 | -골수를 직접 채취하여 악성 형질 세포의 골수 침범 정도를 확인. -클론성 골수 형질 세포의 비율(10% 이상)은 다발 골수종 진단의 주요 기준이다. |
혈액 검사와 소변검사 | -전혈구(CBC) 검사 -말초 혈액 도말 검사: 혈청 단백질 증가로 인해 적혈구가 동전 더미 모양으로 나타나는 롤룩스(Rouleaux) 현상과 같은 적혈구의 비정상적 분포 -혈액요소질소(BUN)과 크레아틴의 증가: 신장기능의 저하. - 면역글로불린 수준(IgG, IgA 및IgM) 파악, 단클론성 단백질의 정량, M-단백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획득. 혈액에서 M 단백질이 검출되면 다발골수종을 의심해볼 수 있다. -젖산 탈수소효소(LDH), 베타-2 마이크로글로불린: 종양 세포의 특성을 반영 |
PET 검사 | 뼈와 그 외 다른 장기를 침범했는지 확인 |
MRI 검사 | MM과 무증상 골수종을 구별하는 데 유용 |
세포유전학적 연구: | -17p13의 결손(종양 억제 유전자좌, p53)은 p53의 이형접합 손실로 이어지며 이는 MM이 지닌 고위험 인자로 여겨진다. -기타 고위험 염색 이상은 14q32 전좌이다. 이 자리에는 IGH 유전자(면역글로불린 중쇄 부호화)가 위치한다. |
■ 의미불명 단클론 감마병증(MGUS)이란?
-혈액이나 소변에서 단클론 감마글로불린이 다량 발견 되는 것.
-단일 혈장 세포가 과도하게 증식하여 생긴 유전적으로 동일한 세포 집단(클론)은 단일 유형의 항체를 대량으로 생산한다.
-이 항체들은 단일 클론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단클론 항체라고 하며 M-단백질로도 부른다.
-일반적으로 의미 불명 단클론 감마글로불린병증(MGUS)은 70세 이상의 노인 중 5% 이상에게 발생하지만, 중대한 B-세포 질환으로 진행되지 않는 한 심각한 건강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 다발 골수종 등의 암의 초기 단계일 수 있다. (즉 다발 골수종의 전암 상태다~)
*MGUS: Monoclonal gammopathy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 다발 골수종의 증상?
- 뼈 통증, 빈혈, 숨 참
- 악성 형질세포가 뼈를 침범하기 때문에 뼈 통증을 느낄 수 있음.
(골수 침범시에는 적혈구 세포들이 잘 생성되지 않게 할 수 있어서 빈혈로 어지럽거나 또 숨이 찰 수 있음. )
- 과다하게 형성된 M단백질이 콩팥에 축적이 되면 콩팥 기능이 떨어져 소변양이 감소하거나 만성피로감을 호소할 수도 있음.
■ 다발골수종의 항암치료
-다발 골수종은 혈액암의 일종이고 우리 몸의 골수를 전반적으로 침범하는 병이기 때문에 수술 보단 약물 치료가 주가 된다.
-현재는 고전적인 의미의 항암제 보단 표적치료제들을 조합해서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70세를 기준으로 치료법이 조금씩 다르다.
- 70세 이하인 경우 항암제를 좀 더 강력한 항암제를 사용하여, 자가조혈모세포 이식을 고려할 수 있다.
■ 항암치료 말고 다른 치료방법?
- 근본적인 치료는 항암 치료
- 경우에 따라서 뼈통증을 심하게 호소하는 경우에는 그 곳에 방사선 치료를 통하여서 통증 완화시키기도 함.
■다발골수종의 치료 약제 및 치료 방법 (가이드라인 요약)
▶관해 유도(1차)
-프로테아좀 억제제: Bortezomib (볼테조밈)
-면역조절제: lenalidomide (레날리도마이드), thalidomide(탈리도마이드)
-단클론항체: Daratumumab(다라투무맙)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 melphalan (멜팔란), busulfan(부설판)
▶공고/유지 요법: lenalidomide (레날리도마이드), Bortezomib (볼테조밈) 등
▶재발에 대한 항암 치료
-프로테아좀 억제제: Carfilzomib(카필조밉), Bortezomib (볼테조밈)
-면역조절제: Pomalidomide(포말리도마이드), lenalidomide (레날리도마이드)
-단클론항체: Daratumumab(다라투무맙), Sarclisa(살클리사)
-면역세포 치료제: CAR T 세포
-항체 치료제:
이중항체 -> Teclistama(테클리스타맙),
항체약물결합체 -> Blenrep(블렌렙)
-세포독성 항암제: vincristine (빈크리스틴), doxorubicin (독소루비신), cisplatin (시스플라틴)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이 불가능할 때 고려!
■referance
1. Multiple Myeloma, NCC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Oncology, Version 2.2024 — November 1, 2023
2. James R. Berenson , MD, Institute for Myeloma and Bone Cancer Research, 다발 골수종-MGUS, MSD 매뉴얼, 검토/개정일 2021년 10월 29일, 수정 2021년 11월 1일
3 서울성모병원, 혈액질환 공개 강좌 다발골수종 치료의 현황, https://youtu.be/AHeDKq9qguU?feature=shared
'📚질환&가이드라인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화증후군(Differentiation syndrome)과 덱사메사손 (0) | 2023.09.19 |
---|---|
종양용해증후군(Tumor lysis syndrome)_요산 수준 조절엔 allopurinol, rasburicase, febuxostat) (0) | 2023.09.19 |
아토피 피부염] 국소 치료제부터 시빈코, 린버크, 듀피젠트까지 정리 (0) | 2023.08.21 |
변비약] 변비약 종류 & 약국변비약 추천 (메이킨Q, 둘코락스, 생약성분 등) (0) | 2023.08.21 |
chronotropic effects를 내는 약물들 (0) | 2023.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