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72 약국 알러지, 알레르기, 비염약] 덜 졸린 항히스타민제-알레그라 약국 알러지, 알레르기약] 덜 졸린 항히스타민제-알레그라 ■ 세티리진(Cetirizine) 성분-> 2세대 항히스타민제 중 졸음 유발 가능성 큰 편. ■ 지르텍정 ▶ 동일성분 의약품: 가스톱정, 나노텍정, 노텍정, 동광세티리진염산염, 러지텍정, 로텍정, 리진정, 세노바정, 세라진정, 세리지아정, 세르텍정, 세지날정, 세트린정, 세티즈정, 셀티린정, 신일세티리진정, 쎄로테정, 쎼르테정, 씨즈날정, 아루텍정, 알드라민정, 알러비정, 알러텍정, 알러팜정, 알레드정, 알레리진정, 알레지르정, 알로텍정, 알메텍정, 알세진정, 알지렉스정, 알지텍정, 알진텍정, 알티린정, 엔티리진정, 유한세티리진정, 인트로세티리진염산염정, 코나진정, 티리진정, 하원세티리진정 ▶ 성분: 세티리진염산염(Cetirizine Dihydro.. 2023. 10. 16. 약국 수면유도제] 아론정(독시라민), 슬리펠&쿨드림(디펜히드라민) ■불면증이란 -잠에 들지 못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수면 도중 자주 깨는 경우, 아침에 일찍 깨는 경우,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 모두가 해당됨. - 무조건 약을 복용하기보다는 불면증을 일으킬 만한 원인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 -가장 흔한 경우는 수면 습관을 잘못 들인 경우이며, 다른 원인에 의한 2차성 불면증이 있다. ■ 2차성 불면증 -다른 질환(우울증,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통증 등)이 원인인 경우 -2차성 불면증인 경우 병원 진료를 권하는 것이 좋다. -특히 3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적 불면증은 2차성일 가능성이 높다. ■ 불면증을 일으킬 수 있는 약물 -불면증을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을 복용 중 인지도 확인이 필요하다. -카페인, 식욕억제제, 부신피질호르몬제, 베타효능제/차단제, 비충혈.. 2023. 10. 15. 과립구 집락 자극인자(G-CSF)] 필그라스팀 (뉴라스타, 그라신, 류코스팀) ■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 (G-CSF)란? -골수를 자극하여 더 많은 백혈구를 만들어 피로 내보내는 기능이 있는 생체 조직에서 생산되는 당단백의 일종이다. -항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에 의한 호중구감소증의 치료와 예방을 위해 사용된다. -헌혈이나 줄기세포 이식 전에 사용할 수도 있다. ■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 (G-CSF)에 해당하는 약물 1. 필그라스팀 (filgrastim)- E. coli 발현 시스템 에서 합성된 재조합 인간 G-CSF(rhG-CSF)으로 천연 당단백질 구조와는 약간 다 - 상품명으로는 류코스팀, 그라신 등이 있다. ▶류코스팀 주사액, 류코스팀 프리필드 시린지▶그라신 프리필드 시린지 2. 페그필그라스팀 (PEG-filgrastim)- 재조합 인간 G-CSF(rhG-CSF)인 f.. 2023. 9. 19. 분화증후군(Differentiation syndrome)과 덱사메사손 ■ 분화증후군(Differentiation syndrome)의 정의 -분화증후군(differentiation syndrome) = 레티노산 증후군(differentiation syndrome) -두 가지 종류의 급성 백혈병 또는 혈액암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에 의한 합병증.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정확한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ATRA 약물을 이용한 치료 중 APL(acute promyelocytic leukemia,급성전골수백혈병)세포로부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방출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분화 증후군은 일반적으로 치료를 시작한 후 약 1주~2주 이내에 발생하지만 나중에도 발생할 수 있다. -호흡곤란, 발열, 폐 침윤 및 체중 증가가 특징적이다. 심장.. 2023. 9. 19. 종양용해증후군(Tumor lysis syndrome)_요산 수준 조절엔 allopurinol, rasburicase, febuxostat) ■종양용해증후군(Tumor lysis syndrome) 암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응급 상황으로, 많은 수의 암 세포들이 붕괴 되면서 특정 물질들이 혈류로 방출될 때 발생한다. 이로 인해 체내의 포타슘, 인산염 및 요산 수준이 매우 높아지며, 칼슘 수준은 매우 낮아진다. 이 물질들은 원래 혈액 속에 존재하는 것들이지만 너무 많거나 너무 적게 존재하게 되면서 신장 및 다른 장기에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종양용해증후군(Tumor lysis syndrome)의 원인 혈액의 종양인 특정 림프종 또는 백혈병의 특정 유형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나, 거의 모든 종류의 암에서 발생 가능하다. 종양용해증후군(Tumor lysis syndrome)은 대부분 화학 요법이나 다른 암치료 후에, 암 세포가 동시에 붕괴.. 2023. 9. 19. Fondaparinux(Arixtra, 아릭스트라주) ■Fondaparinux (폰다파리눅스) -상품명으로는 Arixtra(아릭스트라주) -헤파린과 유사한 항응고 효과를 나타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Fondaparinux (폰다파리눅스)작용 메커니즘: - Fondaparinux (폰다파리눅스)는 헤파린과 마찬가지로 Xa 인자를 억제하는 항응고제이나 트롬빈(IIa)을 억제하지 않는다. - 즉 Xa 인자에 의해 주도되는 경로를 통한 항응고 효과를 가지며, 헤파린과 비교했을 때 트롬빈을 전혀 억제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Fondaparinux (폰다파리눅스)는 헤파린보다 반감기가 길고 혈소판과 상호작용하지 않는다. 때문에 항응고 효과가 지속되면서도 혈소판 수가 감소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Fondaparinux (폰다파리눅스)는 헤파.. 2023. 9. 6. D-penicilliamine(알타민 캡슐)과 윌슨병, 구리 축적, 간질환 ■ 윌슨병(wilson disease) 개요: -구리 대사의 이상으로 인해 주로 간과 뇌의 기저핵에 과다한 양의 구리가 축적되는 유전질환이다. -13번 염색체의 ATP7B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한 유전질환이며, 혈청 내에서 구리의 운반을 맡은 세룰로플라스민(ceruloplasmin)이 선천적으로 적거나 없어서 세포 내 유리구리(free Cu)가 증가하게 된다. -전 세계적으로 3만 명 내지 10만 명당 1명꼴의 빈도로 발생하며, 보인자률은 90명당 1명으로 비교적 흔한 유전 질환이다. -전체 인구 중 약 1%가 영향을 받으며, 평균 11.4세에 증상이 나타난다. -간과 뇌에 구리 축적으로 인해 간염, 정신 및 신경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윌슨병의 증상 -. 윌슨병 환자는 출생할 때부터 구리가 체내에 축.. 2023. 9. 6. 치매 노인 불면증] quetiapine(카세핀정, 쿠에타핀정, 쿠티아핀정, 큐로켈정) *저희 할머니가 복용하시는 약물에 대한 공부 내용입니다. 가족이 비슷한 증상이 있으면 이 글을 참고는 하시되, 꼭 담당 의사나 약사와 상의하세요. ■ 치매 노인의 불면증 약물 치료 -> quetiapine(카세핀정, 쿠에타핀정, 쿠티아핀정, 큐로켈정)은 식약처에서 불면증으로 허가를 받지는 않았지만, 한국 불면증 진료지침 목록에 있는 약으로 허가외 처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약물임. -한국에서는 불면증 단독 치료제 or 보조요법으로 흔히 사용하고 노인, 소아 환자에게도 많이 사용하며 인지기능장애 (치매, cognitive disorder) 의 망상, 환각, 난폭한 행동 등의 조절에 효과 있다고 함. *referance: 한국판 불면증 임상진료지침, 불면증의 진단과 치료 아래 표에서 *표시는 불면증으로 식.. 2023. 8. 27. 약대 과제] SOAP 노트, FARM 노트 작성법과 예시 약대, 약사] SOAP 노트, FARM 노트 작성법과 예시 약대에서 약물치료학이나 실무 실습 공부를 하다보면 SOAP 노트 혹은 FARM 노트 작성을 많이 하게 된다. SOAP 노트는 본래 의사들이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 복잡한 환자 케이스를 분석하기 위해 개발된 문서 형식이다. 현재는 의사뿐 아니라 간호사, 물리치료사, 약사 등등 의료 서비스 제공자 간의 의사소통 도구로 널리 쓰이고 있다. 동일한 형식을 사용하므로 표준화된 환자 분석과, 의사소통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원래 의사를 위해 개발된 형식이라 약사들이 쓰기에는 잘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 대안으로 개발된 형식 중 하나가 FARM 노트다. FARM노트는 SOAP와 서술하는 내용은 거의 같으나 강조하는 부분이 다른 형식이라 볼 .. 2023. 8. 26. 이전 1 2 3 4 5 ··· 31 다음 more 반응형